반응형

조직신학 설교 31

[교리야 노올자] 가경을 성경으로 인정할 수 없는 이유(요한계시록 22:18,19)

가경을 성경으로 인정할 수 없는 이유요한계시록 22장 18,19절 성경은 구세주이신 ‘한 인물’(신약)과 구세주를 태동시킨 ‘한 민족’(구약)에 관한 것입니다. 구약성경 안에는 하나님께서 한 민족을 어떻게 일으키셨고, 그들에게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계시하고 있는가 하는 내용에 집중합니다. 유대인들은 구약성경을 오해했습니다. 성경이 단지 이스라엘 역사요, 율법에 관한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즉 율법을 통해서 구원받을 수 있다는 것을 기록해 놓은 책이 구약성경이고, 유대인은 율법을 잘 지켜 구원 받을 수 있기에 구세주라는 예수는 자기들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생각해서 배척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구원 방법은 오직 하나입니다. 예수님 외에는 그 어떤 구원의 방법을 말씀해 주신 적이 없으며, 율법(..

조직신학 설교 2025.02.06

하나님의 특별계시, 성경(디모데후서 3:15~17)

하나님의 특별계시, 성경디모데후서 3장 15~17절 이 세상에는 수많은 책들이 있습니다. 인간이 다른 생물보다 월등한 존재가 될 수 있었던 이유 중의 하나가 글을 만들고, 글을 통하여 생각과 사상을 나누고 개인이 쌓아올린 지식들을 공유하고 계승 발전시켰기 때문입니다. 언어와 문장의 집합체인 책(冊)이야말로 인류의 가장 소중한 유산(遺産) 중의 하나입니다. 그 중에서도 성경(聖經)은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주신 가장 큰 선물입니다. 성경이 아니었다면 인류가 어떻게 하나님을 바르게 인식할 수 있었겠으며,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알 수 있었겠습니까? 성경은 인간으로 하여금 영생의 길을 알게 하는 유일한 책입니다. 그래서 에이브러함 링컨은, “성경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가장 좋은 선물이라고 나는 믿습니다...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하나님의 초자연계시(2)(창세기 23:36, 출애굽기 19:9)

하나님의 초자연계시(2)창세기 23편 36절, 출애굽기 19편 9절 서론특별계시는 하나님께서 구원받은(받을) 사람들에게 자신을 나타내는 특별한 계시입니다. 자연계시는 누구에게나 나타나고 있지만 특별계시는 하나님의 백성들 중심으로 나타납니다. 지난 시간에 하나님의 특별계시, 그 첫 번째 수단-하나님의 직접적인 현현(顯現)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 이야기를 하겠습니다.특별계시의 두 번째 수단은 ‘직접적 전달’이라는 수단으로 자신의 존재와 의지(意志)를 나타내시는 것입니다. (1. 하나님의 직접적인 현현(顯現). 지난 주일 설교에 이어)2. 하나님의 직접적 전달하나님께서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더불어 교통하실 때에는 자신의 사상(思想)과 의지를 매우 직접적인 방법으로 선명하게 시달하셨습니다. ..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하나님의 초자연계시1(시 80:1, 99:1)

하나님의 초자연계시1시 80편 1절, 99편 1절 서론우리는 지난 번에 하나님께서 계시를 통해 자신을 알려주셨다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사람은 영적인 존재로 창조되었기에 자연계시(일반계시)만으로도 얼마든지 하나님을 알 수 있고 지각할 수 있게 창조되었습니다. 그런데? 죄가 들어오면서 하나님의 존재는 지각의 영역 저 편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죄(罪)는 하나님을 지각할 수 있는 기관에 치명타를 주었습니다. 하나님의 일반계시는 흐려지고 부패해 졌으며, 사람들은 자연 속에 나타나고 있는 하나님의 역사(자연계시)와 섭리들을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자연계시의 장소가 될 양심도 죄로 인하여 마비되어버리자 인간은 하나님의 진리를 허위(虛僞-혹은 우상)로 바꾸어 놓았고, 자연물을 신(神)으로 섬기는 해괴한 일들이 ..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일반 계시란 무엇인가?(시편 19:1, 로마서 1:20)

일반 계시란 무엇인가?시편 19편 1절, 로마서 1장 20절 서론지난주일 설교에서 ‘기독교는 계시종교’라는 내용을 전했습니다. ‘계시’라는 단어는 타종교와의 차별성입니다. 기독교가 땅의 종교가 아니라 하늘의 종교라는 까닭이 ‘계시’라는 이 단어에 있습니다. 하늘 종교와 땅의 종교는 그 기원이 하늘이냐, 땅이냐? 로 구분됩니다. 종교의 시작을 하늘에 기원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계시에 의해 시작된 종교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기독교는 하늘에서 시작된 종교하늘 종교와 땅의 종교는 그 기원이 하늘이냐, 땅이냐? 로 구분됩니다. 종교의 시작을 하늘에 그 기원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자기 계시에 의해서 시작된 종교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에게, 어떤 계시를 해 주고 계신가요? 먼저 우리 인생이 궁금한 몇 가..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계시란 무엇인가?(로마서 1:18~23)

계시란 무엇인가?로마서 1장 18~23절 서론지난주일 설교에서 ‘기독교는 계시종교’라는 내용을 전했습니다. ‘계시’라는 단어는 “살짝 보여주다”, “숨겨진 것을 들추어 보여 준다”, 마치 신부 얼굴을 가린 면사포를 살짝 올려 신부의 찰나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신부는 보여준 만큼만 보게 됩니다. 만약 신부가 면사포를 살짝 보여주지 않으면 신랑이나 사람들은 제 마음대로 신부 얼굴을 상상하면서 소설을 쓸 것입니다. 그래요! 계시는 ‘사람의 지혜로써는 알 수 없는 진리를 신이 가르쳐 알게 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것만, 하나님께서 알려주신 것만 인간은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계시입니다. 기독교가 타종교와의 차별성 중의 하나가 계시사상입니다. 타종교에는 계시사상이 없습니다. 그래서..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신약성경개론(마가복음 1:1)

[성경 특강]신약성경개론마가복음 1장 1절  성경은 구약(舊約)과 신약(新約) 그리고 그 사이인 중간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약은 천지창조에서부터 말라기 선지자의 활동까지 다룹니다. 신약은 예수님의 탄생, 세례요한의 활동부터 사도 요한의 요한계시록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신약성경의 배경사 신약성경을 이해하려면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구약과 신약 사이인 중간기에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가를 알아야 합니다. 정치적 배경, 유대교적 배경, 당파의 배경 등은 앞에서 이야기되었습니다.여기에서는 유대인의 분산에 대한 내용만 살펴보겠습니다.㉠ 국가적 분산-유대인들은 건국 이래로 수없이 많은 외침과 수난을 당했는데 왕국이 멸망당한 역사의 아픔이 두 번 씩이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비운(悲運)의 민족입니다. 다윗 왕가..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구약 성경 개론(디모데후서 3:16)

[성경특강]구약 성경 개론디모데후서 3장 16절 오늘은 성경 66권을 개론적으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성경은 한 권이자 66권이고, 66권이자 한 권입니다. 한 권이라는 말은 예수 그리스도를 주제로 한 성령 저자의 한 작품이기에 한 권이라는 말이고 66권이라는 말은 66개의 작은 책들이 모여 단권을 이루었기 때문에 하는 말입니다.구약은 929장 신약은 260장, 신구약을 합치면 1189장입니다. 1189는 극동방송 싸이클에 하나를 더한 것이며 제가 사용하는 이메일 번호가 1189입니다. 일부러 여러분들이 기억하기 쉽게 아이디를 1189로 사용한 것입니다. 이것도 일종의 효과적인 학습이겠지요?성경에서 가장 긴 장은 시편 119편으로 176절까지 있습니다. 가장 짧은 장은 시편 117편으로 두 절입니..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성경은 어떤 책인가?(디모데후서 3:15-17)

성경은 어떤 책인가?디모데후서 3장 15-17절 기독교는 성경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성경이 없었다면 기독교 역시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성경은 이 세상에 출판되어 있는 수십만 종의 책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선물하신 ‘단 하나 밖에 없는 유일한 책’입니다. ‘하나님의 선물’이라는 것은, 하나님 자신의 계시를 이 책 속에 완벽하게 담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성경을 말할 때, 하나님의 특별계시의 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인류가 타락하고 신지식(神知識)을 상실하게 되자, 하나님은 특별계시(신의 현현, 예언, 이적)을 통하여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셨습니다. 그러다보니 일부 지역의 사람들, 일부 시대의 사람들은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지만 타 지역과 다른 시대의 사람들은 하나님을 제대..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구약과 신약의 중간사(마태복음 3:1, 2)

[성경배경사 특강]구약과 신약의 중간사마태복음 3장 1, 2절 구약의 마지막 선지자는 말라기이며 구약성경 중에서 가장 나중에 쓰여진 성경이 말라기서입니다. 성경학자들은 말라기서의 기록연대를 B.C. 433~425년 사이라고 말합니다. 세례 요한이 등장할 때까지 대략 4백여 년의 기간에는 어떤 선지자도, 아무런 선지자의 예언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영적으로 어두운 세월이라 해서 영적 흑암기, 혹은 구약과 신약시대의 중간기라 해서 중간사라고도 합니다.성경을 읽을 때 신약에는 구약에는 없는 제도(制度), 사회구조, 신분, 이름들이 등장합니다. 그것은 구약과 신약 사이에 있는 약 4백여 년의 기간을 뛰어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신약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중간기에 어떤 일들이 생겨났는가? 하는 것을 아는 것은 ..

조직신학 설교 2025.02.02
반응형